top of page
DavidMalloy.jpg

Chairperson,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미국천주교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As Chairman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of th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USCCB), I welcome all of you to the “Catholic Korea Peace Forum 2022” in Washington, DC.  This is a very special occasion for my committee and my brother bishops gathered here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to host this large delegation from th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It was in 2017 that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hosted by the Catholic Institute of Northeast Asia Peace (CINAP) on behalf of the Korean episcopal conference. The aim - to promot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ore specifically, the role of the Catholic Church in promoting that peace. Cardinal Robert W. McElroy (then a bishop) of San Diego was invited to participate. He gave a thoughtful presentation on “Foundations for Peace.” In 2018, the committee was again invited to send participants to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hosted by CINAP. Bishop William Skylstad of Spokane, former president of the USCCB, and Professor Maryann Cusimano Love both spoke and offered their views on how to foster peace in this land long divided by conflict.

In the past two years, because of the pandemic, speakers from the United States have had to participate virtually in CINAP conferences.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facilitated connecting CINAP with Frank Aum of the U.S. Institute for Peace, and with Fr. Drew Christiansen of Georgetown University to share their expertise and insights with the audiences gathered by CINAP.

The Korean bishops chose to host their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in Washington, DC because the United States has been engaged with the struggle on that peninsula since 1950. Some 6.8 million American men and women served in the Korean war and thousands of them died. Today there are still some 28,000 U.S. forces stationed in the Republic of Korea, working in a strong alliance with the South Korean military. 

It has been almost 70 years since an armistice was declared on the Korean peninsula, dividing families, creating suspicion and hostility as the two Koreas developed on very different tracks, and leaving the people in a state of uncertainty. There is no doubt that tensions have heightened, particularly as North Korea has advanced it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Following Pope Francis’s continued charge to Koreans to “work for peace”, the Korean bishops and their Committee for the Reconciliation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his conference and many other actions, have shown their strong commitment to playing a role in resolving this conflict. On behalf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I join with my brother bishops in Korea in praying for the strength and patience to make this journey towar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미국천주교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워싱턴 D.C.에서 개최되는 ‘2022가톨릭한반도평화포럼’에 참석하신 여러분 모두를 환영합니다. 평화 포럼이라는 특별한 기회로 미국가톨릭대학교에서 저희 형제 주교님들과 함께 한국천주교주교회의를 대표하여 오신 분들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국제정의평화위원회는 2017년에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가 한국천주교주교회의를 대표하여 개최한 첫 번째 국제학술대회에 초청받은 바 있습니다. 제1회 국제학술대회는 한반도 평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최되었으며, 더 정확하게는 평화를 촉진하는 데 있어 가톨릭교회의 역할은 무엇일지 논의하고자 함이었습니다. 당시 주교셨던 샌디에이고 교구의 로버트 맥엘로이 추기경님께서 참석하시어 ‘평화의 기반’이라는 주제로 심도 있는 발표를 해주셨습니다. 저희 위원회는 2018년에 열렸던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의 제2회 국제학술대회에도 초대받았습니다. 미국천주교주교회의 전 의장이었던 스포캔 교구의 윌리엄 스카일스타드 주교님과 메리앤 쿠시마노 러브 교수님 두 분이 발제자로 나서 오랜 시간 갈등으로 분열된 한반도에서 평화를 어떻게 조성해 나가야 할지 고견을 나눠주셨습니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미국에서는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의 학술대회를 온라인으로밖에 참여할 수 없었습니다. 국제정의평화위원회는 미국 평화연구소의 프랭크 엄, 조지타운대학교의 드류 크리스티안센 신부님과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가 관계를 쌓아가는 데에 도움을 드렸고 그분들의 전문성과 통찰을 학술대회 참가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습니다. 

한국 주교님들께서는 여섯 번째인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워싱턴 D.C.에서 주최하기로 하셨습니다. 1950년부터 한반도가 겪은 고난의 역사에 미국 또한 함께 했기 때문입니다. 미군 약 680만 명이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수천 명이 전사했습니다. 오늘날 역시 2만 8천여 명의 미군이 남한에 주둔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국군과 견고한 동맹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휴전이 선언되고 70여 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가족은 찢어졌고 의심과 적개심이 남았습니다. 남북한은 매우 다른 방향으로 발전했고 상황은 불투명해졌습니다. 북한이 핵무기와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발전시킴에 따라 남북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한국에 계속해서 ‘평화를 위해 힘쓸 것’을 촉구하셨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주교님들과 민족화해위원회는 국제학술대회와 다른 여러 활동을 통해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데에 역할을 다하시며 큰 헌신을 보여주고 계십니다. 미국천주교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를 대표하여 한국의 형제 주교님들과 함께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이 여정에 용기와 끈기를 청하며 기도하겠습니다.

Bishop
David J. Malloy

데이비드 J. 말로이 주교

김주영 시몬 주교.webp

Bishop
Simon Ju-Young Kim

김주영 시몬 주교

Chairperson, Committee for the Reconciliation of the Korean Peopl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

Greetings and welcome to the “Catholic Korea Peace Forum 2022.”

I am Bishop Simon Ju-Young Kim of the Committee for the Reconciliation of the Korean Peopl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The Catholic Institute of Northeast Asia Peace—this forum’s host organization—has hosted over five international conferences since 2017 to reflect on the Church’s calling for peace. And the Catholic Church of the U.S. has stood in solidarity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events in the past five years. “Catholic Korea Peace Forum 2022” is one of the results of this partnership. We want to extend our deep gratitude toward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Justice and Peace of th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USCCB) for preparing this forum together to practice the calling for peace.

The Diocese of Chuncheon, where I serve, borders North Korea. In fact, our jurisdiction includes parts of Gangwon province in North Korea over the demarcation line. I also serve as the acting Bishop of the Hamhung Diocese overseeing the Hamhung province, which is the eastern part of North Korea. The trauma of the Korean War is deeply ingrained in the Diocese of Hamhung, where no priest or church exists; and in the Diocese of Chuncheon, divided by the demarcation line.

72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rt of the Korean War, but the war still has not officially ended. With still hostile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with the U.S. and China not having formally concluded this conflict, the threat of war yet loom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Committee for the Reconciliation of the Korean People has been praying and working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 be achieved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its people. Because we, the Church, believe and preach that “true peace is made possible only through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517).

While peaceful resolu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feels difficult to achieve, we the Church are convicted by the truth that war and violence can never be the means for peace. Therefore, we strongly stand against the arms race and believe we have to work for those oppressed under that influence. In 1961, when the world was under the threat of nuclear war due to the Cold War between East and West, His Holiness Pope John XXIII preached through the Christmas message: “with the authority which we have received from Jesus Christ, we say: Shun all thought of force. Think of the tragedy of initiating a chain reaction of acts, decisions, resentments that could erupt into rash and irreparable deeds.”

Although it could be a far and rugged journey, we cannot give up on the way of peace. I pray that the Peace of Christ be upon all who work for the “Peace on Earth.” Once again, thank you for participating in this forum with passion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2022 가톨릭한반도평화포럼’(Catholic Korea Peace Forum 2022)에 참여하시는 여러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저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 김주영 시몬 주교입니다.

이번 포럼의 실행기관인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는 평화를 위한 교회의 사명을 성찰하기 위해 2017년부터 다섯 차례 국제대회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5년 동안의 행사를 통해 미국 천주교회는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연대를 지속해 주셨습니다. 가톨릭한반도평화포럼은 이러한 연대의 결과입니다. 평화의 사명을 실천하기 위한 행사를 함께 준비해 주신 미국천주교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제가 사목하는 춘천교구는 북한과 접경하고 있는데, 사실 교구의 관할지역은 휴전선 이북의 강원도 지구 일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는 북한의 동부 지방인 함경도를 관할하고 있는 함흥교구 교구장 서리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사제와 성당이 존재하지 않는 함흥교구, 그리고 휴전선으로 갈라져 있는 춘천교구에는 한국전쟁의 상처가 깊이 새겨져 있습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72년이 지났지만, 전쟁은 공식적으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남한과 북한은 여전히 서로를 적대시하고 있으며, 전쟁에 참여했던 미국과 중국 역시 이 분쟁을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했기에, 한반도의 평화를 방해하는 전쟁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한국 천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는 민족의 화해를 통한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기도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교회는 “진정한 평화는 오로지 용서와 화해를 통해서만 가능해진다”(<간추린 사회교리> 517항)고 믿고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매우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교회는 전쟁과 폭력을 통해 평화를 얻을 수 없다는 진리를 확신합니다. 그러기에 군비경쟁 또한 강력히 반대하며 그 재력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힘써야 함을 강조합니다. 동서 냉전의 상황에서 핵전쟁을 두려워해야 했던 1961년, 성 요한 23세 교황님은 주님 성탄 대축일 담화문을 통해 각국의 지도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부여받은 권위로써 말합니다. 모든 폭력의 생각을 떨쳐야 합니다. 갈등과 돌이킬 수 없는 행동을 자아내는 활동, 결정, 증오의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비극을 생각하십시오.”

멀고 험한 여정이 될 수 있지만, 우리는 평화의 길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지상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이들에게 그리스도의 평화가 함께 하기를 기도합니다. 다시 한번 한반도 평화에 관심을 가지고 포럼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bottom of page